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온라인 수익화의 기록

블로그 시작할 때 글쓰기보다 먼저해야 할 일, 마인드맵 그리기

by 삶의 소비 중계석 2025. 4. 24.
728x90

온라인 수익화를 목표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가장 처음 했던 것은 블로그 생성. 그다음으로 했던 것은 글쓰기가 아니었습니다. 마인드맵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꾸준한 실행을 위한 생각 정리가 먼저다.

생각은 많고, 정리는 안되고, 무엇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서 시작도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시작하는 블로그를 꾸준히 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였습니다.

컨설팅은 사람이든 AI이든 비용이 발생한다.

내 생각으로 마인드맵을 만들면서도 2% 아쉬웠던 것은 "검토받고 싶다." 전문 용어로 "컨설팅받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늘 관련 지식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의 생각이 "잘 정리된 것일까?", "빠트린 건 없나?", "추가해야 할 건 뭐지?", "빼야 할 건 뭐지?" 등에 대해 조언을 얻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비용을 들이고 전문가에게 컨설팅 요청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만 돈을 들이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AI 시대에 마인드맵 프로그램을 사용해보려고도 했습니다. 무료로 사용하는데는 다양한 제한이 있었습니다. 횟수제한, 생성 제한, 파일 전환 제한 등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유료 결제를 해야 했습니다. 

 

무료 사용 할 수 있는 X마인드, 챗GPT로 마인드맵 보완하기

블로그 수익이 확실해지기 전까지는 돈을 쓰지 않겠다는 기준을 세워놨습니다. 

그래서 유료 툴 사용은 자연스럽게 제외하고 다른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

 

수동으로 하기에는 귀찮고, AI 시대에 반자동으로 하는 것도 무슨 의미인가 싶어 포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마무리되지 않은 생각 정리가 늘 발목을 잡았습니다.

 

돈은 쓰기는 싫은 데 도움은 받고 싶고, 수동은 싫은 데 반 자동이라도 진행을 해야 발전이 있을 것 같고...

 

끝없는 내적 대화를 반복하다. 결론을 내렸습니다.

기존에 무료로 사용하고 있던 X마인드맵 프로그램과 챗GPT의 도움을 받아 생각을 정리하고 확장해 보기로 한 것이죠. 

 

생각만으로는 그 어떤 결과물도 나오지 않으니까요.

 

완전 수동에서 반자동으로라도 시간 단축을 할 수 있는 게 어디냐, 비용을 들이지 않고 나보다 더 방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AI한테라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게 '기회'라고 생각하며 스스로를 설득하며 다시 한 걸음을 떼었습니다. 

 

AI에게 마인드맵 보여주기. 

드디어 오늘 그 결정을 실행으로 옮기기 위해 챗GPT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마인드맵 형성에 대한 지금 제 생각을 가감 없이 입력하니 현실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알려줬습니다.

 

X마인드 프로그램에서 만든 마인드맵을 PDF파일로 만들어 업로드하고 검토를 요청하니 구조를 정리하고 확장해서 제안해 주고 AI 코치로서 제안을 해주고 다음 행동까지 제안해 주었습니다.

 

챗GPT가 제안해 준 내용을 어디에 첨부해야 할지 몰라 X마인드에 생성된 마인드맵 이미지를 캡처해서 보여주고 어디에 새로운 가지를 만들어야 하는 거냐고 물어보니 새로 생성행 야할 위치를 알려줬습니다.

 

마인드맵 수정 그리고 확장

챗GPT가 알려줘서 보완한 부분은 파란 선으로 구분해서 보완을 하고 거기서 파생된 제 생각을 첨부할 때는 원래 가지 색으로 구분을 해서 입력했습니다. 

 

추가, 수정된 마인드맵을 다시 검토 요청을 했고 그것에서 또 보완하면 좋을 것들을 제안해 주었습니다. 예를 들면 흐름의 구조화, 질문 추가, 현실성 점검, 시뮬레이션의 구체화 등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말이죠.

 

도움을 받는 입장에서는 많은 지식과 경험을 겸비한 정확한 검토를 해 줄 수 있는 코치이자, 컨설턴트의 조언을 얻고 싶지만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선에서 나보다 더 방대한 자료를 가지고 있는 AI의 도움을 받아 내 생각을 정리하는 것도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물론 챗GPT의 제안을 무조건 신뢰하는 것은 아닙니다. 처음 오픈 AI가 시작되었을 때 챗GPT의 지능 나이를 4살 어린아이에 비유했었는데 현재는 사용자의 AI 활용 지식, 본인의 지식수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니 제 수준에서 선택하고 걸러냅니다.

 

눈덩이처럼 불어난 생각, 마인드맵으로 쪼개 실행하자.

"자동화만 바라보며 멈춰져 있을 것인가? AI의 도움을 받아 한 발을 뗄 것인가?"

 

생각이 확장되면 확장 될 수록 블로그 수익을 높이기 위해 AI를 잘 사용하기 위해 배워야 할 것들, 실행해야 할 것들이 늘어납니다.

 

머릿속으로 생각만 하면 점점 불어나는 눈덩이처럼 커져 감당할 수 없을 것 같은 문제가 되어 시도조차 못하게 됩니다.

 

하지만 마인드맵으로 생각을 하나씩 꺼내 기록하면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것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합니다. 생각을 시각화하고 나의 상황과 필요에 맞게 분류하고 정리하면 명확해집니다.

 

커다란 눈덩이처럼 뭉쳐 있던 생각을 마인드맵을 이용해 정리하면 여러 개의 작은 눈 덩어리로 나뉘게 됩니다. 작은 실행으로 시작해볼 수 있는 용기가 생깁니다. 

 

블로그 수익화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블로그를 시작하려고 마음먹었다면 글쓰기 전에 마인드맵을 그려보세요.

내가 어떤 주제에 관심이 있는지, 어떤 글을 쓸 수 있는지, 글쓰기가 어렵다면 어떤 도구를 사용할지, 누구에게 내 이야기를 전달할지 등을 머릿속에서 꺼내 마인드맵으로 시각화하는 것만으로도 작은 목표가 생기고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을 꺼내보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