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티스토리 회원 가입 하기
티스토리 홈 화면에서 '카카오톡 계정으로 시작하기'를 누르거나 우측 상단의 '시작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둘 중 어떤 걸 누르든 똑같은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화면에 안내대로 카카오 계정을 만들 때 사용했던 '카카오 메일'이나 '사용했던 이메일' 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비밀 번호 입력 후 '로그인' 버튼을 눌러 티스토리에 로그인합니다.
카카오 계정이 없으시다면 화면 하단에 '회원가입'을 클릭해 카카오 계정을 만들어 로그인하시기 바랍니다.
2. 블로그 만들기
티스토리 가입 환영 안내에서 인위적으로 주어진 블로그 주소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한 번 만든 블로그 주소는 바꿀 수 없으니 세상에 하나뿐인 주소를 만들어 보세요.
자신이 운영할 블로그의 취지를 반영하셔도 좋고 다른 SNS에서 활동을 하셨다면 주로 사용하던 닉네임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블로그 주소는 영문, 숫자, 마침표로만 구성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완성 후 하단에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티스토리 홈 화면에서 바로 관리를 눌러 블로그 관리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에 회원 가입 후 로그인을 하면 환영 팝업창에서 '내 블로그'를 누르면 앞으로 채워가야 할 새 블로그가 보입니다.
블로그에서 '관리'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우측 상단에 티스토리 로고를 클릭하면 계정 관리, 운영 중인 블로그 설정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3. 블로그 설정하기
블로그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있는 톱니바퀴를 눌러주세요.
블로그 관리에 들어오면 화면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좌측엔 블로그 관리 메뉴, 우측은 첫 화면엔 통계가 보이지만 우측의 각 메뉴를 누르면 그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바뀝니다.
블로그 관리 메뉴에서 몇 가지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어렵지 않으니 차례차례 따라 해 보세요.
3-1. 콘텐츠 설정
앞으로 작성할 콘텐츠에 대한 설정을 해야 합니다. 이것은 꼭 애드센스에 승인을 받기 위함이라기보다는 내가 만든 콘텐츠를 발행하고, 보호하는 설정입니다.
- 저장할 글 상태는 '비공개'에서 '공개'
- 단락 앞뒤에 공백을 '사용합니다'에서 '사용하지 않습니다'
- 저작물 사용 허가(CCL)를 '표시하지 않습니다'에서 '표시합니다'
- 상업적 이용을 '허용'에서 '비허용'
- 콘텐츠 변경을 '허용'에서 '비허용'
위와 같이 변경 후 꼭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주세요. 그래야 블로그에 반영이 됩니다.
3-2. 댓글·방명록 설정
댓글, 방명록 메뉴에서 '설정'을 누르면 댓글과 방명록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사용자만'을 선택합니다.
방명록 작성은 '비허용'하셔도 되고 '허용'하셔도 됩니다. 단, 작성으로 설정 시 '로그인 사용자만'으로 선택합니다.
스팸 댓글 휴지통으로 보내기를 사용하면 기계적인 댓글은 스팸으로 인식해 휴지통으로 보내집니다.
설정 변경 후에는 꼭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야 블로그에 반영됩니다.
3-3. 스킨 설정
블로그 관리 메뉴 중 꾸미기에 '스킨 변경'을 누르면 티스토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 주는 10개의 스킨이 나옵니다.
10개 중 7가지 스킨은 '목록 광고'를 지원하는 스킨으로 만들어졌지만 3개의 스킨은 '반응형' 스킨입니다.
7가지 스킨 중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위해 블로그를 개설하신 분들은 'Book Club' 스킨을 선호합니다. 애드센스 승인 후 광고 설정할 때 사이드 바에도 광고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킨을 선택하고 '미리 보기'로 확인 후 '적용'을 꼭 눌러주세요.
스킨 선택 후 '미리보기'로 꼭 확인하세요.
게시글이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는 위와 같은 화면으로 보입니다.
게시글이 누적되어 가면 Book Club 스킨에서 여러분의 글은 이렇게 보이게 됩니다.
3-4. 사이드바 설정
좌측 블로그 관리 메뉴에서 밑으로 내려가 사이드바로 들어갑니다.
우측 화면에 오른쪽은 기본 모듈과 사용자 모듈, 왼쪽은 사이드바 1, 2가 있습니다. 사이드바 2에 있는 모듈 중 지금 현재 사용하지 않을 메뉴들은 우측에 마이너스 버튼을 눌러 빼줍니다.
애드센스 승인 검토는 프로그램이하는 것이기 때문에 심플한 디자인 구성이 좋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카테고리 메뉴'만 남기고 모두 뺐습니다.
3-5. 모바일 설정
모바일웹 자동 연결을 '사용합니다;와 '사용하지 않습니다' 중 사용하지 않습니다로 선택합니다.
모바일웹 자동 연결을 사용하면 왼편의 이미지처럼 블로그 프로필에 업로드한 이미지가 반영되고 사용하지 않으면 모바일에서도 PC 블로그와 같은 느낌의 블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웹 자동 연결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애드센스 승인 후 광고가 간혹 반영이 안 될 때가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3-6. 플러그인 설정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메뉴 하단으로 내려가면 Blog 운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 23개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5개의 플러그인이 '사용 중'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각각의 플러그인을 살펴보고 필요한 것을 클릭해서 사용과 해지를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처음엔 몇 개만 사용했었는데 하나씩 하나씩 연동하고 입력하다 보니 그 수가 증가했습니다.
블로그 수익을 늘리 위해서 애드센스 승인을 받기 전에는 플러그인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게 좋다는 의견도 있습니다만 필요에 따라 설정하세요.
3-7. 블로그 설정 입력
3-7-1. 블로그 프로필, 아이콘, 파비콘 설정
프로필 이미지 '+' 버튼을 눌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업로드합니다.
블로그 이름과 닉네임은 다른 블로거들과 겹치지 않는 이름으로 지어보세요.
블로그 설명은 운영하게 될 블로그에 어떤 기록을 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을 해주세요.
아이콘과 파비콘도 본인의 블로그 운영 취지를 담아 제작해서 입력해 주세요.
아이콘은 타 블로그나 커뮤니티에서 덧글을 남기면 자신만의 아이콘이 적용됩니다.
파비콘은 인터넷 창에 로고가 뜨는 것처럼 내 블로그만의 로고가 인터넷 창에 뜨게 하는 것입니다.
위에 사진에서 볼 수 있듯 두 개의 동그라미 중 오른쪽은 파비콘을 적용하기 전이고 왼쪽의 동그라미는 파비콘을 적용한 후입니다.
파비콘을 적용하는 이유는 애드센스 승인 신청 시 조금이라도 전문성을 어필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블로그 이름이나 닉네임, 설명, 로고, 아이콘 등을 작성하고 만드는 것이 어려울 때는 AI를 활용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3-7-2. 주소 설정, RSS설정
블로그 주소 설정 화면에서 포스트 주소가 '숫자'로 되어 있는 것을 '문자'로 바꿔줍니다.
게시글에 숫자가 붙여져 어떤 글인지 구분이 안되기보다는 문자로 설정해 URL에 게시글 제목이 첨부되게 됩니다.
문자로 바꿨을 때 단점은 타인에게 링크를 공유할 때 URL 길이가 길어진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번거롭겠지만 링크를 단축 사이트에서 줄여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처음 개설된 블로그의 RSS는 10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최대한 숫자인 50개로 수정합니다.
· RSS란?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약자로 블로그에 새 글이 올라가면 자동으로 그 정보를 외부로 보내주는 기술입니다.
차후에 방문자 유입을 늘리기 위해 구글 서치 콘솔에 블로그 URL을 등록하면서 RSS 설정을 통해 새 글을 빠르게 검색되게 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운영 가이드
티스토리 블로그 시작하기, 주제 정하기
1. 시작하기다들 온라인으로도 돈을 번다는데 나도 벌고 싶다. 머릿속으로는 늘 생각했습니다.일상을 살아가면서, 온라인 수익화 영상을 보면서, 침대에 누워서도 시시때때로 생각의 긴 꼬리는
craftstory.tistory.com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화 전략 통계 분석으로 방문자 늘리기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화 전략 : 통계 분석으로 방문자 늘리기
티스토리 블로그로 수익을 올리고 싶다면 통계 분석부터 시작하세요. 방문자 수, 조회수, 검색 유입, 키워드 활용까지 단계별로 블로그 수익화 전략을 소개합니다. 온라인 수익을 만들기 위해
craftstory.tistory.com
'블로그 온라인 수익화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제미니 사용법 과 챗GPT 비교 후기 - 어떤 AI가 나에게 맞을까? (2) | 2025.04.13 |
---|---|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화 전략 : 통계 분석으로 방문자 늘리기 (3) | 2025.04.09 |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변환 열풍, 내 정보 수집 막기 : 데이터 제어 설정 가이드 (1) | 2025.04.07 |
블로그 운영자를 위한 필수 도구 : 구글 애널리틱스와 서치 콘솔 가이드. (0) | 2025.04.05 |
구글 애드센스 승인 신청 과정 완벽 정리 (초보자용) (0) | 2025.04.04 |